Golden Blog
10.16 (13p) 세계와 소통하기 위해 감각을 활용한다. -> 보이는 것과 다른 듯 하다. -> 감각을 반성하고, 성찰한다(사유한다). 생각했다 -> 감각과 다르다. 생각은 경험 이전에 일어날 수도 있다. = 선험적 인간은 어떻게 개념이라는 것을 갖게 되었는가. (태초의 인간) 선험적이지만은 않다. 경험적이기도 한다. + cogito, ergo sum 의 cogito : 생각하는 활동 + 파르마코스 약과 독의 양면성 - 감각 사유 -> 근대적이성, 합리성 // 꺠야하는 요소다_미셸 푸코, 개몽의 변증법 개몽주의 인간의 비극..!! 생각하는 나 -> 감각하는 나.. 고립을 막아야한다. "몸을 통한 사유가 가치가 있는 것이다." (예전에 내 생각 : 감각하지 않은 완전한 앎은 없는 것 같다 와 비슷!) ..
10.14 인식의 정당화 : 지식과 믿음의 관계 존재론 / 형이상학 : 하이데거(검색), 모든 존재자는 존재를 소유한다. 존재를 존재자로 xxx! (=불교의 색.공), // 존재자 없이 존재가 있을 수 있는가(아렌트_유대인 하이데거에 반대) 왜 존재와 존재자를 구분? 신을 확인하고 싶어한다. = 존재자(보편자)를 구체화하려 노력 / 예수탄생 보일때까지 안믿어야 하는가??? _친구간 신뢰를 예로들었는데, 타당한진 모르겠다. 믿지 않는 이유가 있을것. 믿게하기 위해, 종교가 장사를 시작하게되었다. (친구간 신뢰, 신뢰하기떄문에 친구가 아닌, 이득이 되어서 친구가 되고, 신뢰를 만든다.) 존재자를 넘어선 것을 따지는 형이상학이 학문 가치가 있는가_존재론 들뢰즈 : 아담과 이브의 선악과 해석 ( 신에 대한 욕망..
10.09
10.07 지식과 믿음의 불명확성(문제는 믿음을 지식으로 단언하는 것) 러셀(?) -> k.popper : comjectures and refuterion (억측과 반박) ㄴ 가설 연역적 방법(오류가능성 이론) 'hypothetical ductive method' logical positivism(논리실증주의) - 현대 철학에 많은 영향 "과학만이 가치", 검증이 가능해야 한다. 귀납적 -> 전체를 확률적으로만이라도 유도, 논리적 오류 - 버려라(검증가능성 이론) (비엔나 학파 비판 대상/- 진리는 전체다(헤겔) -/ but 부분들의 합의 일반화일 뿐, 전체가 아니다. 믿음을 지식으로 바꾼것. 오류 가능성 존재 유대인 - 집없어 - 자본주의+돈많아 // 나치즘 + 파시즘의 탄압 유대인 - 자본위한 기술 ..
10.2 Max Scheler 충동적 생명 : 완전히 수동적 (ex 식물) 욕망적 생명 : 완전히 수동적 x (ex 동물) 기억에 의존하는 생명 (연상 심리학) : 습관화된 반복적 성향 실천적 지성에 기초하는 생명 (계산적 지성 w.kohler실험) 인격적 생명 '인간과 동물이 다른가?' : 상품적 가치를 넘은 선이 기준이 된다고 한다. 인간이 마음의 평화를 추구한다고 한다. (해야할 것을 해서 자유롭다) 이론적으로 분석할 수 없음을 주장 (수양) verstand - begriff (욕망, 잡히는) vermunft - idee (해햐하는 세계-도덕적인(일 말고)) 자율적인 사람이 자유롭다. 계산없는 해야하는 일. "대부분은 못한다"_가능성 생각..완벽한 '사람'이 있을 수 있나 윤리//실체를 반영하지 않..
9.30 지식의 탑 물질의 매커니즘을 설명 - 물리학욕망의 매커니즘을 설명 - 심리학중간매체 - 신경생리학=> 인간의 '설명'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발전, 감성로봇(치유의 대체), 성로봇(연인의 대체) "그토록 신경과학에 지배를 받는 인간이라면(생물학적 결정론) 과연 인간이 자유가 있다고 할 수 있는가?"[인간농장을 위한 규칙]"유전자를 바꿀 수 있다면 인문학의 교육은 의미가 없어지지 않는가?" ㄴ 모두 가능하다면, 결국 획일화 될 것이다. 이것이 인간을 파괴하나? 불확실성을 없애선 안되는 것인가?"독재_고문 / 생체의 지배 -> 무엇이 다르고, 자유로운지 생각해 보라"-> 견유학파(키니코스 학파)를 지지한 니체 (찾아보기) 가치관이 신경과학을 초월한다. 도덕적 힘이 생물학적 힘을 능가한다.칸트 - 과학적..
09.23 (월)